지난 주말 인사동 KCDF(한국공예 디자인문화진흥원) 갤러리에 다녀왔습니다.
한국공예라고 해서 아주 전통공예만 있는 줄 알았는데, 상당히 현대적인 상품들도 많더라구요.
다만 가격이 일반인한테는 살짝 부담. 하지만 외국인 친구나 소중한 분들께 선물하기에는 좋은 아이템들이 많았습니다.
KDCF 갤러리는 목인박물관 옆 관훈갤러리 앞에 위치해 있어요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644B38548546C91D)
제가 차(茶)에 관심이 많다보니 이 다기가 눈에 확 들어왔는데요, 역시 실제로 이용하기엔 부담스럽고 차를 위한 나만의 공간이 있다면 구석에 인테리어로 같이 진열하면 완전 뽀대날 듯! ㅎㅎㅎ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682738548546CC16)
손잡이가 특이했던 컵. 저게 제주도 말을 형상화한 모양이래요. 손잡이는 제주도 몽돌을 표현한거라는데 어디서 많이 만져본 질감이다 싶더니 3D 프린터로 만들어서 붙였다고 하더군요. 3D 프린터 어디까지 영역을 뻗칠런지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747D38548546CD02)
구석에 있던 닭모양 인테리어 소품. 깨알같이 병아리와 달걀도 있어요. 양모로 만들고 그 위에 수를 놨는데 앙증맞은거 있죠. 신혼부부나 금슬 좋은 가족한테 선물로 주면 딱이겠어요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6AC238548546CE11)
백자로 빚은 에스프레소 컵이에요.
백자 특유의 푸른빛이 도는 컵이 매우 탐나더군요. 에스프레소도 좋지만 제가 좋아하는 꼼빠냐(에스프레소 위에 생크림)를 마셔도 훌륭할 것 같아요. 음...역시 다시봐도 탐나는걸요~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728C38548546D006)
머리 장신구입니다. 한복을 입고 삐져나온 속머리를 단정히 정리할 때 쓰면 좋겠지요. 꼭 한복이 아니더라도 심플한 느낌의 드레스에 올림머리를 올렸을 때 포인트로 활용해도 좋겠어요. 개인적으로는 초록에 빨간열매가 이쁘네요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647E38548546D21C)
갤러리 창가에 있던 테이블 세트.
의자가 둘이 아니라 하나라서 잘 어울려요. 등쿠션과 무릎담요는 천염염색 조각보로 만들었네요. 천연염색 조각보는 어ㄸ너 나무 재질과도 잘 어울려요. 자연이 숨쉬기 때문이겠죠? 저기 앉아 책이라도 읽고 싶은 마음이 간절했지만, 전 문화시민이니까요! 전시품에 손대지 않습니다~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59B938548546D32B)
이게 뭔 지 아세요?
세상에나, 한지에 손수를 놓았어요. 무려 한지에!!! 보자기처럼 활용하는 건데, 아까워서 어떻게 쓸까요. 우리 전통 문양과 색감 그대로 한지에 새겨넣은 게 멋들어지네요. 역시 활용보다는 액자에 넣어 장식하는 게 좋겠지요?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48D639548546D501)
전 이런 동글동글한 열매 모양이 참 좋습니다. 거실 테이블에 하나 콕 올려놓고 싶은 마음..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461439548546D606)
우리 전통 보자기로 만든 보관함이에요.
색바랜듯한 색동무늬도 곱지만, 물고기 수와 별모양 덧천이 포인트네요. 나이들면 보자기 만드는 걸 배워보고 싶어요. 고급스럽고 정성이 가득한 포장이자 그 자체로 훌륭한 선물인 보자기.
오히려 이웃 일본에서 우리의 보자기를 더 배우고 책으로 많이 출간되고 있어요. 우리 이런거 반성해야해요. 우리 전통 우리가 살려야지, 일본이 하도록 놔둘 순 없잖아요~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3FA439548546D810)
펠트지를 이용한 파우치백.
펠트 자체는 우리 전통 재질이 아니지만, 색감을 오방색을 살려 전통 느낌이 물씬 나도록 했네요. 이건.. 집에 있는 펠트로 만들어 볼 수도 있겠습니다. 호호..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1298639548546D92E)
저희 친정엔 자개장이 많아요. 칠보라고 하죠.
어렸을 땐 일반 장롱의 몇 배나 비싼 자개장을 모으는 엄마가 이해되지 않았는데, 나이가 들수록 칠보의 오묘한 매력을 알게 되겠더라구요. 자연이 무지개를 담아 바다에 숨겨놓은 걸 장인들이 다시 세상에 선보이는 칠보.
이건 장식함인데, 가격이.... 그래요, 정성을 생각하면 더 가격도 비싼 건 아니겠지요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428A39548546DA0C)
안에도 곱게 옻칠이 되어 있어 고급스러움이 가득합니다. 진짜 귀한 분께 선물로 드리고 싶어요. 로또에 당첨되면 말이죠. 흠흠~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2A2E39548546DC2C)
누빔 실내 슬리퍼와 한지공예로 만든 곽티슈케이스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48ED39548546DD01)
나무를 깍고 다듬어 만든 컵이 쪼르르... 활용도보다 인테리어로 그만이군요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4BF93B548546DF31)
비슷한 색감의 작품들을 모아서 테마 전시했는데, 역시 우리 전통의 색은 붉은색이 그만입니다.
가운데 양념통처럼 생긴건 구리를 일일이 두드리고 편 후 옻칠을 해서 만들었다고 해요. 바나나 우유가 생각이 나네요. ㅇㅅㅇ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7601A3B548546E010)
벽걸이 거울과 칠보장.
거울...탐납니다. 어렸을 때 집에 저런 거울이 있었는데, 그 땐 흔했는데 말이죠. 어느샌가 보기 드물어졌어요. 대량 생산과 현대화는 일상 속의 따뜻함을 잃어버리게 만들었네요..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4F733B548546E12C)
벽걸이 거울이 안되면 이런 경대라도... ㅋㅋ 이게 더 귀하겠죠? 화장대 위에 올려놓고 싶군요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256B73B548546E320)
비녀가 너무 고와서 한참을 꽂혀서 보고 또 봤는데요..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522D3B548546E527)
역시나 무형문화재이신 김영희 선생님의 작품...
장인의 손길은 이름을 드러내지 않아도 티가 나나봅니다.이런걸 낭중지추라고 하지요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44BEC3B548546E628)
백자로 구은 도자기 장식품인데, 이런건 솔직히 우리 전통이라기보다는 중국쪽 작품 느낌이 나서...
제가 잘 몰라서 그런거겠죠? 그래도 이쁘더라구요~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356C93B548546E820)
전 이런 무광의 투박한 질그릇 느낌도 좋아합니다. 접시에 오색 나물 조금씩 돌려남고 고추장으로 포인트만 줘도 고급스러운 한 상이 나오겠죠.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605D037548546E935)
집으로 돌아오는 길에 도로변에서 털고무신을 파는 걸 봤어요.
사실... 이게 우리 전통 아닐까요? 살까말까 한참을 망설이다가 그냥 돌아왔는데, 다음에 인사동 나갈 일 있을 때 하나 쯤 사놓을까봐요^^
![](https://t1.daumcdn.net/cfile/tistory/250EEC37548546EB29)
날씨가 갑자기 추워졌다고 너무 방콕만 하지 마시고, 한 번씩 나와서 이런저런 구경을 하는 것도 좋아요. 구경은 공짜니까요^^ 아, 차비는 듭니다. ㅎㅎ
가실 때 하트 콕! 잊지 마세요~ ↓↓↓